본문 바로가기
아동작업치료

평가의 개념적 구조-4

by 땡이2 2023. 10. 20.

재평가 목적

포괄적인 평가의 네 번째 이유는, 발달을 측정할 수 있으며 계속되는 치료의 필요성을 결정하기 위해 아동의 수행을 재평가(reevaluation)하기 위함이다. 재평가의 내용과 형식은 재평가의 특정한 목적에 따라 구성된다.

 

만약 아동이 특수교육 서비스를 받을 자격이 지속되는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면, 재평가는 아마도 타당하며 신뢰성 있는 결과를 보장하는, 표준화된 상대평가의 측정이 포함될 것이다. 그러나 재평가의 일차 목적이 치료의 결과로써 아동의 진전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라면, 특정한 기능적인 목표의 중재 초기 단계 동안 치료사가 기록한 객관적 항목 (Olielives)과 같은 다른 측정이 더 적합할 수 있으며, 아동의 발달상 및 기능적 변화에 보다 민감할 수 있다.


가령, 다운증후군인 유아는 중재 과정 동안 표준화된 검사의 점수가 미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표준 점수는 검사의 정상 샘플(normative sample)과 비교했을 때 단지 유아가 느린 비율로 발달하고 있음을 지적할 뿐이다. 이 유아에게서 보이는 발달상의 변화를 보다 민감하게 측정하는 것은 치료사가 초기 중재 동안 기록한 장기 목표(Iong-term goals)와 단기 목적(short-term objectives)일 수 있다. 단기 목적은 치료사가 주의 깊은 작업 분석(task analysis)을 통하여 개발하며, 장기 목표에서 설정한 보다 진전된 행동 으로 연속해서 이끄는 특정한 목표 행동을 목록화하 는 과정이다.

 

아동의 재평가 과정은 계속적이며 역동적임을 강조한다. 치료사가 아동을 중재하는 각 시간에, 치료사는 치료적 활동(therapeutic activities)에 대한 아동의 반응을 평가하고 기능적인 과제를 통해서 아동의 수행을 평가한다. 치료사는 중재계획이 조절될 필요가 있는지 결정하기 위해 각 치료 기간 동안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한다.

 

요약하면, 비록 아동의 형식적 재평가(formal reevaluation)가 치료 서비스의 과정 동안 특정한 시기에 실시되지만, 작업치료사는 각각의 치료 시간 내 에서 평가를 위한 조사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임상 연구

임상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아동의 수행과 행동을 측정하도록 주의 깊게 선택한 것이다. 
1. 연구 설계가 대규모 집단이든 단일 피검사를 포함하든 간에, 이용하는 도구는 종속변수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2. 사용된 측정은 연구 설계에 따라 표준화된, 상대 평가도구이며, 종종대규모 집단 설계에 사용되는, 준거 참조 검사 도구에 속하거나 혹은 단일대상 연구(single-subject research)를 위해 조작적으 로 정의된 치료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3. 임상 연구를 설계하는 데 있어 가장 도전적인 한단계는 대상자의 변화를 문서화하기 위해 적절하고 정확한 측정을 찾아내는 것이다. 목표 달성척도(goal attainment scaling, GAS)는 아동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아동의 기능적인 목표 달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술이다(King, McDougall, Palisano, Gritzan, & Tucker, 1999). GAS는 학습장애 (Young & Chesson, 1997)와 외상성 뇌손상 (Mitchell & Cusik, 1998)을 가진 아동의 작업치료 결과를 사정하는 데 사용한 개별화된, 변화의 상대평가 측정 도구이다.


아동작업치료에서 주요 연구 분야는 중재 프로그 램의 효과를 문서화하기 위한 임상 결과의 측정이다. 로우(Law, 1999)는 변형된 ICIDH-2(WHO, 2001) 구조(1CF의 전신인)를 이용하여 내담자, 서비스, 혹은 프로그램 평가에 관하여 타당하며, 적합한 결과 측정을 선택하도록 치료사를 보조하기 위해 자기조절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126 아동 측정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어서, 장애를 가진 아동의 임상 결과를 조사하는 작업치료 연구자들에게는 획기적인 자료이다.

'아동작업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가과정-2  (1) 2023.10.23
평가과정-1  (2) 2023.10.22
평가의 개념적 구조-3  (0) 2023.10.19
평가의 개념적 구조-2  (1) 2023.10.18
평가의 개념적 구조-1  (2) 2023.10.17